본문 바로가기

영어

임사체험으로 깨달은 것들: 삶과 죽음에 관하여 (강성태 유튜브)

공부의 신 강성태는 과학적으로 증명된 공부 방법을 수험생들에게 전해주는 걸로 유명하다.

하지만 나는 수험생 시절에는 그의 영상을 보지 않았다. 

(만약에 알았다면 챙겨봤을 것이다.) 

오히려 요즘에야 그 사람의 통찰력을 느끼게 되어 구독을 한 후 모든 영상을 챙겨보고 있다. 

영상 하나하나의 깊이가 깊고 길이가 길기 때문에 자주 올라오지 않아 더 좋다. 

 

그의 채널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AI'이다. 

어쩌면 아직은 도래하지 않은 그 위기감에 대해 강성태 강사님과 의견을 같이 하는 측면이 있었다. 

그래서 그의 영상을 챙겨보며 내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은 뭐가 있는지, 
내가 살아가면서 참고할 사항은 뭐가 있을지 깊게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던 중 '임사체험'이라는 제목으로 영상이 하나 올라와 있는 것을 보았다. 

나도 평소에 죽음에 관해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발견하자마자 바로 시청하였다. 

 

사실 '임사체험'이라고 해서 '죽음을 체험할 수 있는 시설이 있나?'정도로 생각했다.

하지만 착오였다.

실제로 죽을 뻔한 고통을 겪은 후에 느낀 점을 공유하신 거였다.

강성태 강사님은 임사체험을 통해 삶의 본질과 인간의 존재 이유에 대한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거기에 AI의 급격한 발전에 의한 심리적 방황은 그 생각에 깊이를 더해줬을 것이다. 

 

영상에 대한 요약본을 정리해 보았다. 

 

1. 임사 체험의 경험과 그에 대한 반응   

2021년 후반기, 강성태 강사님은 몸 전체의 모세혈관이 파열되는 심각한 신체적 고통을 겪었다.
이 사건을 그를 죽음의 문턱까지 이르게 했으며 온몸이 만신창이가 된 상태로 극심한 고통을 경험했다.
그가 느낀 신체적 고통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심리적 충격으로까지 이어졌다.

 

죽음의 위협을 직면하면서 그는 자신의 존재 이유와 삶의 의미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되었다.

"왜 살아야 하는가?", "삶의 목적은 무엇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들이 그를 괴롭힌 것이다.

 

즉, 신체적 그리고 심리적인 고통의 의미와 이를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인간이 삶에 대해서 무엇을 배워야 하는지 성찰하게 되었다. 

 

2. 삶의 본질과 의미에 대한 재평가

1) 물질적 성취의 한계 인식

강사님은 임사체험 이전에는 외적 성취와 물질적 성공에 초점을 맞추었다.

하지만 임사 체험을 통해 이러한 것들이 삶의 본질적 의미를 제공하지 못한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2) 내면적 성찰의 중요성 

물질적 성취보다 인생을 풍요롭게 해주고 본질적인 의미를 지닌 것은 

내면의 성찰과 정신적 성장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 둘을 삶의 진정한 의미와 목적으로 설정해야 함을 느낀 것이다. 

 

3. 인공지능의 급격한 발전과 존재적 고민 

1) 인공지능과의 첫 조우

그는 일반인들보다 이른 시기인 2020년엔 chat GPT-3 모델을 접하며 AI의 잠재력을 먼저 실감했다. 

그는 이를 활용해 영어 학습서를 집필하였고, 그해 가장 많이 팔린 학습서가 되었다. 

 

2) 인공지능에 의한 걱정

2020년 이후로 인공지능은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이에 대해 그는
인간의 역할이 어떻게 변화할지, 그리고 AI 시대에 인간이 어떤 의미를 지니게 될지
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되었다.

특히, 인간의 학습과 교육의 의미에 대해 재고하게 되었다고 한다. 

 

4. 새로운 가치관과 목표 설정 

  • 정신적 성장 
  • 관계와 사랑에 대한 재평가 
  • 사회적 기여와 봉사 

 

위 세개가 강성태 강사님이 새로 정의한 삶에 있어서 본질적으로 중요한 요소들이다. 

외적인 성취보다는 자신과 그리고 타인의 내면적 성장과 정신적 평화를 중요시하게 되었고 

혼자 살아가는 세상이 아닌 타인과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인간관계와 사랑의 중요성을 재평가하게 되었고 

타인과의 진정한 연결과 배려가 삶의 중요한 부분임을 깨닫게 된 것이다. 

 

또한 사람을 가르쳤던 본인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자 하는 사명감을 가지게 되었다. 

앞으로의 교육의 목적과 방향을 재설정하는 과정이라고 한다. 

5. 결론

결국 어느정도 성공을 이룬 사람들이 하는 얘기는 공통된 것 같다.

 

- 외적 성취보다는 내면적 성찰과 정신적 성장

: 외적 성취는 언제까지나 도구임을 명심하자 (돈, 직업, 명예 등)

: 사람을, 동물을 살리기 위한 도구 

: 사랑하는 가족을 지키기 위한 도구

: 남에게 더 큰 도움을 주기 위한 도구 

- 인간관계의 중요성

: 가족, 친구, 연인, 동료, 타인 
: 분별이 없어야 한다는 가르침 

- 본인의 삶과 가치관에 대한 철학

: 불자로서의 삶 

 

부모님 덕분에 먹고 살 걱정은 안해도 되는 직업이 나에게는 있지 않은가.

현생을 살아가는 도중에도 이들에 대한 숙고는 멈추지 말아야한다.

 

https://youtu.be/JPgEPKlPdp8?si=4cPiTc_gVobOnUm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