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108배 일기

일주일 동안 108배 하면서 느낀점, What I felt from 108 prostrations for 7 days

240501 (1/7)

절을 하는 동안 가장 낮은 곳에 있다는 느낌이 무엇인지 느껴보기 위해 노력했다

Strived to experience what it feels like to be at the lowest point during bow 
 

240502 (2/7)

발등이 조금 까졌다. 하면서 따가운 느낌이 들어서 중반 이후부터는 발등을 들고 했다. 절을 하는 동안 자세에만 신경 쓰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중간중간 수많은 다른 생각들이 떠오른다. 그때마다 얼른 다시 자세 생각을 하기 위해 노력하지만 쉽지만은 않다. 호흡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여전히 모르겠다. 

My instep got a little burnt. Since then, I've been lifting my instep because it felt hot. I'm trying to focus on my posture while bowing, but many othe thoughts keep popping up intermittently. Each time, I quickly try to refocus on my posture but it's not that easy. I still don't have a clue about how to breathe properly.  

240503 (3/7)

퇴근하고 놀러 가기 전에 잠깐의 짬을 내서 하고 갔다. 이것이야말로 108배의 가장 큰 장점이라 생각한다. 좁은 공간과 찰나의 시간만 있다면 어디서든 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자세 잡는 것에 점점 익숙해져 가는 느낌이 든다.

Before going out to play after work, I took a brief moment to do 108 prostrations. This is the greatest advantage of 108 bows, I think. It can be done anywhere with just a small space and a moment's time. And I feel like I'm getting more comfortable with my posture as I continue.

250504 (4/7)

나는 원래 내가 요즘 무엇에 관심이 있고 무엇을 하는지에 대해 잘 얘기하지 않는 편이다. 그래서 오늘 여자친구 집에 놀러 왔을 때도 내가 요즘 108배를 한다고 말을 하지 않았다. (여자친구가 기독교인 것도 영향이 있는 것 같다.) 그럼 어떻게 했냐고? 다섯 개씩 끊어가면서 몰래 했다. 35개까지는 그렇게 하고 나머지 73개는 여자친구가 낮잠 잘 때 바닥에서 했다. 그렇다 맨바닥에서 했다. 엄청 아플까 봐 걱정했는데 생각보다 괜찮았다. 오히려 천천히 공들여서 마친 것 같아서 뿌듯하다. 물론 무릎은 약간 빨갛게 됐다.

I tend not to talk much about what I'm interested in or what I'm doing these days. So, when I went to my girlfriend's house today, I didn't mention that I was doing 108 bows recently. (I think her being Christian also influenced my decision.) So how did I do it? I did it secretly, breaking it into sets of five. I did up to 35 like that, and then I did the remaining 73 on the floor while my girlfriend was napping on the bed. Yes, I did them on the ‘floor’. I was worried it would be really painful, but it was surprisingly okay. I actually feel proud that I completed it slowly and diligently. Well my knees indeed turned red.

240505 (5/7)

캐나다에 내가 좋아하는 조던 피터슨이라는 교수가 있다. 심리학을 전공했으며 다양한 철학적인 이야기를 쉽게, 동시에 깊게 해주는 똑똑한 사람이다. 그 사람이 어떤 팟캐스트에서 한 말이 있다. ‘전쟁터 속의 정원사보다는 정원 속의 전사’가 낫다. 처음에는 이 말이 무슨 뜻인지 몰랐다. 꽃과 칼이 공조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있었다. 하지만 108배를 하면서 느꼈다(물론 5일밖에 되지 않았지만). 꽃을 키우는 행위와 칼을 손질하는 행위는 서로 다르다. 내가 지금 108배를 하는 건 꽃을 기르는 행위이다. 내 주변을 꽃밭으로 만들기 위해서. 주변 사람들을 존중하고 내 마음을 평화롭게 유지하기 위해서. 그래서 내 주변이 평화로울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이와 다르게 내가 행정고시 공부를 하고자 하는 것은 칼을 가는 행위이다. 위기가 닥쳤을 때 언제든지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기르기 위해서. 내 꽃밭이 침범당했을 때 그것을 지키기 위해서. 두 가지 모두 필요하다. 부지런히 읽고 생각하고 쓰고 행동하여 진정한 남자로 거듭나자.

In Canada, there's a professor I admire named Jordan Peterson. He majored in psychology and is a brilliant person who effortlessly delves into various philosophical discussions in depth. He once said on a podcast: "Better to be a warrior in a garden than a gardener in a war." At first, I didn't understand the meaning of this statement. I wondered if flowers and swords could cooperate. However, I felt it while doing the 108 prostrations (even though it's only been five days). The act of cultivating flowers and sharpening a sword are different. What I'm doing now with the 108 chants is cultivating flowers, turning my surroundings into a flower garden. It's to respect those around me and maintain peace within myself, so that my surroundings can be peaceful. On the other hand, reading books and studying for the exam is like sharpening a sword, to cultivate the strength to overcome any crisis that may arise and to protect my flower garden when it's invaded. Both are necessary. Let's diligently read, think, write, and act to become true men.

250506 (6/7)

오늘은 음악을 들으면서 했다. 사실 절에 가서도, 유튜브에 ‘불교 명상’이라거나 ‘108배 음악’을 검색해 봐도 풍경 소리, 물소리 등의 음악들이 추천된다. 나도 물론 그런 종류의 소리를 좋아한다. 원래부터 공기 좋고 물 좋은 곳을 좋아할뿐더러 들으면 마음이 편안해지지 않는가. 그래서 순간 고민하기도 했는데 나는 그냥 내가 평소에 좋아하는 노래들을 담아 놓은 플레이리스트를 틀고 했다. 두 가지의 이유가 있는데 첫 번째는 즐기기 위해서다. 내가 물론 108배를 장난스럽게 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 싶고, 마음의 평화를 찾고 싶고, 그 외에도 기대하고 있는 효과들이 있다. 하지만 지금은 그저 자세를 익혀가고, 가장 낮은 곳에 있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 느끼고 있다. 지금은 108배와 내가 친해지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원래의 내 일상에 자연스럽게 융화시키기 위해 그냥 평소에 듣는 노래를 틀어놓고 하였다. 두 번째는 오래 하기 위해서다. 나는 무엇이든지 꾸준히 오래 하는 능력이 부족했다. 아마도 처음부터 몸에 너무 힘을 주고 시작해서 그런 것 같다. 훈련소를 갔다 와서, 그리고 108배를 하면서 가장 많이 생각하는 것이 바로 눈앞의 한 시간, 한 페이지, 하나의 절에 집중하는 것이다. 지금은 그저 하는 것에 의미를 두고 하고 싶다. 명상 음악도 분명히 그것이 주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아직은 아니다. 하지만 언젠가는 듣게 될 것이라 생각한다. 내일까지만 하면 일주일 완료이다. 큰일 없으면 아침에 딱 끝내버리자. 고생했다!

Today, I did 108 prostrations while listening to music. Actually, even when I search for "Buddhist meditation" or "108 prostration musci" on YouTube, I get recommendations like sounds of nature, water, etc. I, too, enjoy those kinds of sounds. I prefer places with fresh air and water, and listening to them relaxes my mind. So, for a moment, I was conflicted, but I just played my usual favorite songs from my playlist. There are two reasons for this. First, it's for enjoyment. Of course, I'm not joking around with the 108 bows. I want to gain enlightenment, find peace of mind, and other expected effects through them. However, for now, I'm just trying to get used to the posture and feel what it's like to be at the lowest point. I think it's important to familiarize myself with the 108 bows, so I naturally integrated my usual songs into my daily routine. Second, it's for longevity. I've always lacked the ability to consistently do something for a long time. Perhaps I've been exerting too much effort from the start. Coming back from the army training camp, and while doing the 108 chants, what I think about the most is focusing on the present hour, one page, and one bow. Now, I just want to give meaning to what I'm doing. Meditation music surely has positive effects, but not for me yet. However, I think I'll listen to it someday. Tomorrow is the last day of my 7 days of 108 prostrations practicd. If everything goes well, I'll finish it in the morning. Hang in there!

 

250507 (7/7)

드디어 해치웠다. 일주일동안 하는 것이 사실 어디 자랑할 만한 성과는 아니다. 하지만 중간에 하루정도 빼먹는게 어려운 것이 아닌데 그래도 매일 했다는 것에 스스로 뿌듯하다. 이 기세를 몰아서 15일 동안 이어가보겠다. 가보자!

 

Finally, I did it. Doing it for a week isn't really a noteworthy achievement, but I'm proud of myself for doing it every day, even though skipping a day in the middle isn't that difficult. I'll keep up this momentum and continue for another 15 days. Let's go!